남원 광한루
[ 南原廣寒樓 ]
- 신라 성덕왕이 처음 누각을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백제에서 더 이른 6세기에 만들은 것으로 보여진다.
- 고려, 조선시대를 거쳐 시계로서 개량, 발전하였다.
- 세종때 장영실이 자격루라는 자동시보 물시계를 만들었다.
맑은 날과 낮에만 쓸 수 있고 흐린 날과 밤에는 쓸모 없는 해시계보다 유용하여, 한국에서는 그 시기가 분명하지 않으나, 삼국시대 이후 국가의 공인 시계로서 중요시되었다.
《삼국사기》에는 신라 성덕왕(聖德王) 17년(718)에 처음으로 누각을 만들고, 이를 관리하는 기관으로 누각전(漏刻典)을 설치하여, 박사 6인 ·사(史) 1인의 관원을 두었다는 기록이 있다.
기록상으로는 이것이 한국 최초의 누각이지만, 이보다 앞서 554년 일본으로 건너간 백제 천문학자[曆博士]들의 지도를 받은 일본에서 누각이 제작되고, 누각박사 ·역박사 등이 제도화된 점으로 미루어, 백제에서는 이미 6세기에 누각이 제작되고, 누각박사의 관직이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고려시대의 누각은 사료(史料)가 없어 상세하지는 않으나, 계호정(挈壺正)이나 장루(掌漏) 같은 누각담당 관리가 있었고, 서운관(書雲觀) ·태복감(太卜監) ·사천대(司天臺) 등의 기관에서 천문(天文) ·역수(曆數) ·측후(測候) ·각루(刻漏) 등의 일을 관장한 사실로 미루어 누각이 공인 시계였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에 최초로 제작된 누각인 경루는 고려 말에 사용된 부루(浮漏) 또는 부전(浮箭)과 같은 유입형(流入型) 물시계였을 것이며, 1316년 원(元)나라에서 제작된 것으로 알려진 두자성(杜子盛)이나 세운행(洗運行)과 같은 유형이었으리라 짐작된다.
당종법(撞鐘法)은 초경(初更)에는 28수(宿)의 수에 따라 28회를 울렸고, 오경(五更)에는 33천(天)에 따라 33회를 울렸는데, 전자를 인경[人定]이라 하여 이 시각에 성문을 닫았으며, 후자를 바라[罷漏]라 하여 성문을 여는 시각으로 삼았다.
세종 때에는 이 밖에도 몇 가지 물시계가 제작되었는데, 1434년(세종 16)에 처음으로 자동시보장치를 가진 물시계를 제작하였다.
이것은 세종의 강력한 염원이기도 하였고, 옛 시계제작자들의 꿈이기도 하였다.
세종은 이를 위하여 동래현(東萊縣) 관노인 장영실(蔣英實)을 특별히 등용하여 상의원별좌(尙衣院別坐) 직책을 주고 중국에 파견하여 물시계를 연구하게 하였고, 장영실은 천문학자 김빈(金鑌)과 함께 2년여의 노력 끝에 1434년6월에 자동시보 물시계를 완성하였다.
자격루(自擊漏)라고 하는 이 자동시보 물시계는 경복궁 남쪽 보루각(報漏閣)에 설치되어, 그해 7월 1일을 기하여 경루를 대체(代替)하고 새로운 표준시계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자격루는 부정시제(不定時制)인 당시의 야루법(夜漏法)에 맞게 경점(更點)을 자동으로 시보하도록 정밀하게 설계되었고, 그 기능은 귀신과 같아서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감탄을 금할 수 없게 하였다 한다.
수수호(受水壺)의 길이가 11자 2치, 지름이 1자 8치나 되는 거대한 것이었다.
이것은 오직 장영실이 있었기 때문에 그렇게 복잡하고 정밀한 자동시보장치를 설계 ·제작할 수 있었다는 《세종실록》만 보더라도, 자격루의 제작은 조선이 물시계를 기계시계로 발전시키는 기술향상에 크게 이바지하였고, 정확한 시간측정에도 큰 공헌을 하였다.
그러나 자격루는 창설된 지 21년 만인 1455년(단종 3) 2월 사용이 중지되고 보루각도 폐지되었는데, 이는 장영실이 죽고 공동설계자인 김빈도 그해 10월에 운명할 정도로 고령이어서 고장난 부분을 고칠 수 없었던 것이 원인인 것 같다.
그것은 1438년(세종 20) 1월에 완성되어 경복궁 천추전(千秋殿) 서쪽에 흠경각(欽敬閣)을 지어 설치하였다.
옥루는 수격식(水激式) 동력장치를 가진 일종의 자동 천상물시계라 할 수 있는데, 명종 초 경복궁 화재로 없어진 것을 1554년(명종 9)에 다시 만들었다.
그 밖에 조선시대의 누각에는 의기(欹器)라는 일종의 물시계가 있는데, 이 시계에는 농가사시(農家四時)의 광경이 새겨 있어 계절에 따른 농사진행 상황을 한눈으로 볼 수 있었다 한다.
현재 덕수궁에 보존되어 있는 누각은 중종 때 만든 자격루로, 1653년(효종 4) 시헌력(時憲曆)의 시행에 따라 1일 96각(刻)으로 바뀌자 자격장치를 그대로 쓸 수 없어, 그것을 제거하고 누기(漏器)만으로 조선 말까지 누국(漏局)에서 사용하였다.
전라북도 남원시 천거동에 있는 조선 중기의 누각.
정면 5칸, 측면 4칸의 팔작지붕 건물.
보물 제281호.
본래 이 건물은 조선 초 황희가 남원에 유배되었을 때 누각을 짓고 광통루라 했던 것인데, 1434년 중건하고 정인지가 광한청허부라 칭한 것에서 광한루라 부르게 되었다.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281호로 지정되었다.
정면 5칸, 측면 4칸의 팔작지붕 양식이다.
광한루는 춘향전으로 많이 알려졌으며 본래 이름은 광통루(廣通樓)였으나 정인지(鄭麟趾)가 광한루라 개칭하였다.
1434년(세종 16)에 중건하고, 정유재란 때 없어진 것을 1638년(인조 16)에 재건하였다고 한다.
1434년(세종 16)에 중건하고, 정유재란 때 없어진 것을 1638년(인조 16)에 재건하였다고 한다.
연못에 면하여 남향으로 세웠으며, 툇마루 주위에 난간을 돌리고 기둥 사이에는 모두 사분합문(四分閤門)을 달아 여름에는 개방하도록 하였다.
마루 밑의 기둥은 전면과 사우(四隅)가 4각형 돌기둥이며 나머지 3면은 원형 돌기둥의 동발기둥, 그 안쪽은 모두 나무기둥이다.
공포(栱包)는 2익공(二翼工)집에 가까운 형식으로 외목도리를 받쳤으며, 기둥 사이 미간(楣間)에는 화반(花盤)을 하나씩 배치하였으나 쇠서의 형태는 다포집에서 볼 수 있는 앙설형(仰舌形)이고, 후면 중앙 사이에는 조선 말기에 부설된 계단이 있다.
광한루 동쪽에는 가로 ·세로가 2칸, 1칸인 부속건물이 있는데, 주위에는 툇마루를 돌리고 난간을 세웠으며 내부는 온돌방이다.
광한루 동쪽에는 가로 ·세로가 2칸, 1칸인 부속건물이 있는데, 주위에는 툇마루를 돌리고 난간을 세웠으며 내부는 온돌방이다.
공포는 기둥 위에 얹은 주두(柱頭)로 도리를 받고 창방(昌枋)은 생략하여 기둥머리 좌우에서 첨차(檐遮)가 나와 도리 밑의 장설(長舌)을 받치게 한 간단한 구조이다.
정조 때 증축하였다.
정조 때 증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