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4월 8일 수요일

해인사,[海印寺], 1

해인사,[海印寺], 1
석조여래입상,[ 石造如來立像 ]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伽倻面) 치인리(緇仁里) 해인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여래입상.

유형/ 시대/ 성격/ 건립시기·연도/ 소재지/ 소유자/ 관리자/ 문화재/ 지정번호/문화재/ 지정일/
유적
고대/남북국/통일신라
불상
9세기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85 (치인리), 해인사
해인사
해인사
보물 제264호
1963년 01월 21일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264호로 지정되었다.

합천군 가야면 가야산(伽倻山:1,430m) 남서쪽에 있는 해인사는 신라 애장왕(哀莊王:재위 800∼809) 때 순응(順應)과 이정(利貞)이 세웠으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12교구 본사이다.

해인사에 있는 여래입상의 높이는 2.1m, 재료는 화강석이다. 이 불상은 목이 절단되고 어깨와 두 팔이 모두 깨졌으며, 발도 없어졌고 광배(光背)와 대좌(臺座)도 결실되었다. 머리는 소발(素髮)이며 육계(肉髻)가 매우 낮고 갸름한 얼굴은 머리와 함께 긴 타원형이다. 눈, 코, 입은 거의 마멸되었는데 코가 짧고 입은 작은 편이다. 왜소한 불신(佛身)에 비해 머리가 크고 어깨는 좁은 편이며 두 팔은 몸에 밀착하여 붙였고 몸은 많이 깨어졌는데 굴곡이 드러나지 않아 석주(石柱) 같은 느낌이 든다. 오른손은 팔꿈치를 꺾어 가슴으로 올린 것 같고 왼손은 그냥 내린 듯하다.
법의(法衣)는 통견(通肩)이며 옷무늬는 특이한데 상체의 양쪽에서 비스듬하게 난 선이 중심에서 만나 날카로운 'V'자 모양을 이루는 옷주름은 허리부분에서 'U'자 모양으로 바뀌어 양쪽 다리에 물결무늬를 형성하였다.
합천 해인사 석조여래입상 ※ 본 저작물은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로, 해당 저작물은 문화재청 누리집(홈페이지)(http://www.heritage.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손상이 심하지만, 평판적이고 형식화한 조각 수법 등 통일신라 말기의 불상 양식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보물 제264호.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불상이다. 불상은 2.1m의 크기이며, 광배(光背 : 붓다의 몸에서 나온 빛의 표현)와 대좌가 결실되었고 무릎 아랫부분이 잘려 나간 상태이다. 목도 부러졌으며, 전체적으로 박락이 심한 편으로 보존 상태가 좋지 않다. 해인사 석조여래입상에 관한 어떠한 기록도 남아 있지 않아 불상 조성에 관한 배경을 구체적으로 알 수 없다.

해인사 석조여래입상은 머리가 몸에 비해 큰 편으로, 원래는 상당히 입체감이 있었던 불상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마모가 심하여 구체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없으나 불상이 갖추어야 할 종교성은 충분히 지녔던 것으로 추측된다

불상은 낮고 편평한 육계(肉髻 : 정수리 위에 솟아 나온 부분)와 후덕하게 보이는 양 볼과 턱, 어깨까지 닿아 있는 귀 등에서 원만한 상호(相好 : 얼굴)를 갖추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머리의 앞면보다 옆면의 폭이 상대적으로 길어진 조형이다.
머리에 비해 좁아 보이는 어깨, 장방형의 돌을 간략하게 다듬은 듯한 불신(佛身 : 불상의 몸)의 모습, V자 형태의 딱딱한 법의(法衣 : 불상의 옷) 주름 등에서 불상이 형식화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수인(手印 : 손 자세)은 오른손을 가슴 앞으로 들어 올렸으며, 왼손을 옆으로 내려 뜨렸다. 박락이 심하여 법의의 주름이 선명하게 드러나진 않지만, 통견(通肩 : 옷이 양쪽 어깨를 덮고 있는 것) 형식으로서 V자 문양이 배꼽까지 내려오다가 W자 모습으로 바뀌고 있다. 이러한 형식은 통일신라시대 718년에 조성된 국보 제82호 경주 감산사(甘山寺) 석조아미타여래입상이 조성된 후, 통일신라시대 8세기에 유행했던 것이다.

해인사 석조여래입상은 불두(佛頭 : 불상의 머리)의 모습과 허리를 강조하는 등 통일신라시대 8세기의 불상 조형을 계승하고 있지만, 머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왜소해진 어깨, 선각(線刻)화 되어 가는 법의 주름 등에서 통일신라시대 9세기 불상의 양식적인 특징이 간취되고 있다.

통일신라시대 8세기 불상에서 볼 수 있는 상호의 원만한 표정이나 법의의 주름 형식 등을 계승하고 있으나, 머리에 비해 좁아진 어깨, 경직화되고 간략화된 법의 주름을 지니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통일신라시대 8세기 불상의 양식을 계승한 9세기 불상의 전형적인 예이다. 이 불상은 통일신라시대 8세기에 수도 경주(慶州)에서 유행했던 양식이 9세기에 지방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표현되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광배와 대좌를 잃은 이 불상은 목이 절단되는 등 전체적으로 손상이 심하지만 통일신라 말기의 불상계통을 보여주고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육계가 낮은 소발의 머리에 갸름한 얼굴로 코가 짧고 입이 작다. 머리에 비해 왜소한 불신은 각진 좁은 어깨, 몸에 밀착된 두 팔, 허리 등의 몸의 굴곡이 표현되지 않은 네모진 신체는 마치 석주와도 같다.

여기에 새겨진 넓은 띠주름식의 법의는 V자로 흐르다가 허리 부근에 U자형으로 바뀌어 두 다리에 물결무늬를 형성한 점 등은 당시 유행하던 통일신라 말 석불상들에 나타나던 특징을 따른 예라 하겠다. 이처럼 이 불상은 평판적이며 경직된 특징이 나타나기 시작한 신라 말 내지 고려 초의 석불상인 것이다.

해인사에 모셔져 있는 이 석불입상은 광배(光背)와 대좌(臺座)가 없어졌을 뿐 아니라, 목이 절단되고 어깨와 두 팔이 모두 깨졌으며 발도 없어졌다.

민머리에는 작은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있고, 얼굴은 긴 타원형으로 많이 닳고 손상되었다. 머리에 비하여 왜소해진 몸은 굴곡이 거의 드러나지 않아서 마치 돌기둥 같은 느낌이 든다. 좁아지고 각진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옷은 양쪽에서 비스듬히 흐른 선이 중심에서 만나 날카로운 V자형을 이루다가, 허리 부근에서 U자형으로 바뀌어 두 다리 사이로 흐르고 있다. 오른손은 팔꿈치를 꺾어 가슴 앞으로 들었고, 왼손은 내렸는데 두 팔은 몸에 바짝 붙어 있는 모습이다.

거대한 바위를 다듬어 불상을 고부조하고 발 아래 대좌를 마련한 이 불상은 머리 뒤에 원형두광을 얕게 새기고, 나머지 부분을 신광으로 처리한 석주형의 거대한 마애불상이다. 얼굴과 두 손을 정교하게 조각한 반면 불신은 마치 석주에 새긴 듯 옷주름 등을 간략하게 처리했다. 육계가 높직한 소발의 머리, 꼬리가 올라간 눈, 융기된 인중이 뚜렷한 비만한 얼굴, 건장하나 평편적인 가슴에 보이는 승각기, 당당한 왼쪽 어깨에 나타난 고리장식 등은 9세기 초로 추정되는 백률사 금동약사불입상(국보 제28호)과 비교되는 당대의 걸작품이라 하겠다.

이 불상은 신체 비례의 불균형, 평면적이고 형식화된 옷주름 등에서 통일신라 후기의 불상양식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참조항목,
가야면합천 해인사

카테고리,
역사아시아사한국사통일신라
문화유적한국보물경상남도
지역아시아한국경상남도

출처 ^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백과]해인사 석조여래입상 [海印寺石造如來立像] (두산백과)
[한국의 사찰문화재 경상남도Ⅰ』(문화재청․대한불교조계종 불교문화재연구소, 2009)
[국보』(증보 상)(박성래, 예경산업사, 1990)
[합천 해인사 석조여래입상 [陜川海印寺石造如來立像]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해인사 석조여래입상 (답사여행의 길잡이 13 - 가야산과 덕유산, 2000. 2. 7.,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문화유산 검색
궁궐·종묘
조선왕릉
기록유산
유네스코 등재유산
3D 문화유산

#한국 #불교 #문화유적#사적#경상남도 #종교#사원#문화예술#건축물#종교건축물 #역사#아시아사#한국사#통일신라 #가야산국립공원#해인사 #합천 해인사[陜川 海印寺] #가야산 해인사 일원 #청곡사 #희랑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 #해인사 대장경판 #합천 해인사 건칠 희랑대사 좌상 #해인사 석조 여래입상 [海印寺 石造 如來立像] #해인사 원당암 다층석탑 #해인사 장경판전 #해인사 영산회상도 #해인사 석등 #해인사 삼층석탑(정중탑) #사명대사 승탑 #석장비#해인사 홍제암 #가야산 #대장경 #대한불교조계종 #반야사 #원경왕사비#불가#부처님[佛] #경전[法] #스님[僧] #세 가지 보물[三寶] #부처의진신사리(眞身舍利)를 모신 통도사를 불보(佛寶)사찰 #고려조16대 국사를 배출한 송광사를 승보(僧寶)사찰 #팔만대장경판(八萬大藏經板)을 봉안 #해인사(海印寺)를 법보(法寶)사찰이라 부른다 #원래부터해인사에 팔만대장경판이 모셔진 것은 아니었다 #대장경판은원래 경남 남해에서 새기고 #강화도에옮겨져 #선원사(禪源寺)에 보관하고 있던 것 #조선태조 7년(1398)에 해인사 #통도사(通度寺:佛寶사찰) #송광사(松廣寺:僧寶사찰) #삼보(三寶)사찰 #법보(法寶)사찰 #불교학원#해인총림(海印叢林) #학인(學人) #말사(末寺)는 150여개 #부속암자 #백련암(白蓮庵) #홍제암(弘濟庵) #약수암(藥水庵) #원당암#해인사가자리하고 있는 가야산 #25교구본사#합천군 #길상탑#장경판전#수다라장#법보전은1488년 창건된 건물로, 유일하게 현존 #조선초의 창고 건물 #정면15칸 측면 2칸 #165평규모 #날카로운초각을 가진 #초익공(初翼工)계 구조 #구광루(九光樓) #대적광전을중심 #승방들이 배치된 구역 #강당#구광루는정면 7칸의 긴 건물 #예전에는아래층의 동쪽 두 번째 칸을 통해 중심 마당으로 출입할 수 있었다 #중심마당에 육중한 삼층석탑 #석탑은마당의 정중앙에서 동쪽으로 약간 치우쳐 있다 #구광루밑을 통과하면 마당의 동쪽 모서리 #동쪽으로치우친 석탑이 #1990년대중창불사 #구광루의누하 출입을 막아버렸고 #구광루의기단#건물의격식 #화엄종최고의 부처 #비로자나불#주불전#대적광전 #해인사대적광전은 원래 2층 전각 #1917년단층으로 재건 #내부에모신 거대한 불상에 비해 천장낮아 #대적광전#나한전#보살전들이산재 #예불공간#신라시대부터#국가적제사를 지내던 #신성한산악으로 정견모주(正見母主) #산신(山神) #신라말 #염세적천재 최치원(崔致遠 857∼?) #이산으로 들어와 산신이 되었다는 전설 #현재해인사 진입부에 국사단(國師壇)이라는 건물 #가람을 수호하는 토지신을 모신 곳 #가야산이산악신앙 #지신신앙#풍류도#토착신앙의성지임을 알려주는 흔적들 #가야산의이름은 석가모니가 큰 깨달음을 이룬 #인도의부다가야(Buddha Gaya)에서 유래한 것 #후대에들어온 불교 #토착신앙#역사적궤적 #해인사는802년 의상의 증손뻘 제자인 #순응(順應)에 의해 창건 #의상계화엄종의 중요 사찰 #화엄십찰#후삼국시대에는왕건 편 #북악파의핵심 #930년왕건의 복전(福田) #희랑(希朗)대사 #크게중창하여 전성기를 맞았다 #조선초 팔만대장경 #1488년대적광전 #장경판전#종루#불이문(不二門) #26동#요사(寮舍)채 #가람전체는 크게 3단으로 나뉘 #아랫단은일주문(一柱門) #봉황문(鳳凰門) #불이문이연달아 배열된 진입부 #일주문#봉황문이위치 #국사단#불이문(해탈문)으로 오르는 계단이 중첩된다 #3개의문 #그사이 공간들 #매우 흡인력 있게 구성 #최고의진입공간 #해인사장경각 #연기설화 표현 #가야산해인사고적 #실린 작품 #명부#이승을오가는 환상적표현 #전기적성격의 서사 전개#불교적 의미화 #적절하게 수행 #소설적면모 #기록유산 #유네스코 #등재유산/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검찰, '쯔양 협박 혐의' 유튜버들 오늘(11일) 수사 착수..'고발 당일' 이례적,쯔양, 5년간 조용한 기부…보육원장 “그간 힘든 내색 전혀 없었다”"두 아들 건다"던 유튜버, 쯔양 협박 비난에 "절대 그냥 못 죽지"쯔양 폭행·협박·갈취하던 前 남자친구, 극단적 선택… 고소 사건 종결,,,

"검찰, '쯔양 협박 혐의' 유튜버들 오늘(11일) 수사 착수..'고발 당일' 이례적,쯔양, 5년간 조용한 기부…보육원장 “그간 힘든 내색 전혀 없었다”"두 아들 건다"던 유튜버, 쯔양 협박 비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