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음보살 [觀音菩薩]
불교] 자비의 마음으로 중생을 구제하고 제도한다는 보살. 중생이 고난 중에 열심히 그 이름을 외면 곧 구제를 받는다고 한다.
- 자비의 마음으로 중생을 구제하고 제도한다는 보살,
관음탱화, 觀音幀畵,
시대/ 유형/ 분야/
조선
개념용어
예술·체육/회화
관세음보살에 관한 신앙을 그림으로 묘사한 불화. 불화
주로 사찰의 원통전(圓通殿)에 봉안된다. 관음보살은 법화변상도(法華變相圖)의 성중(聖衆)이다.
그래서 아미타변상도(阿彌陀變相圖) 속의 협시보살(脇侍菩薩)로서 아미타내영도(阿彌陀來迎圖) 속에 묘사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관음 신앙이 보다 강조되고 독립적인 신앙 형태를 취하게 됨에 따라 독립적인 불화로서 발전하게 된 것이다.
일본에 있는 고려시대의 작품들을 제외하면, 현재 우리나라 사찰에 있는 관음탱화는 대부분이 17세기 이후에 제작된 것이다. 특히, 일본에 남아 있는 대부분의 고려 관음탱화에는 수월관음(水月觀音)이 묘사되어 있다.
수월관음은 ≪화엄경≫의 입법계품(立法界品)에 근거하여 묘사한 것이다. 입법계품에 의하면 관세음보살은 항상 인도의 남쪽 바다 가운데 있는 보타락가산(補陀落迦山)에 거주하면서 중생을 제도하는 보살이라고 한다.
보타락가산은 많은 성중들이 살고 광명이 넘치며 나무의 꽃이 끊임없이 피어 늘 향기가 나는 곳이다. 이곳의 맑고 깨끗한 연못가 금강보석 위에는 관음보살이 결가부좌하고 앉아, 중생을 이롭게 하고 선재동자(善財童子)의 방문을 받아 설법을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전경을 묘사하는 것이 관음탱화의 일반적인 유형이다. 하지만 우리 나라의 관음탱화는 중앙 상단의 궁전 속에 관음보살이 좌정하여 있다. 그 아래쪽에는 협시로서 남순동자(南巡童子)와 해상용왕(海上龍王)이 많이 그려져 있다.
수월관음화는 고려시대에 크게 유행하였다. 오늘날에도 국경공(國京公)이 찬한 <수월관음화>, 한생(韓生)이 그린 <백의수월관음화>, 복령사(福靈寺)<수월관음화>에 관한 기록들이 문헌을 통해 전해지고 있다.
또한 고려의 수월관음화는 중국과 다른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선재동자·암굴·염주·공양자 및 보주(寶珠)를 든 용, 한 쌍의 청죽(靑竹) 등의 표현은 다른 나라의 탱화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이다.
이는 의상(義湘)이 친견한 낙산(洛山)의 수월관음을 도상화한 형식이 계속 유행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에도 관음탱화의 주류를 이루었던 수월관음도였다. 그러나 밀교(密敎)의 영향을 받은 천수관음(千手觀音)·백의관음(白衣觀音)·양류관음(楊柳觀音) 등의 탱화도 유행하였다.
대표적인 관음탱화로는 1323년(충숙왕 10년)에 서구방(徐九方)이 그린 <수월관음도>와 혜허(慧虛)가 그린 <수월관음도>, 1301년(충렬왕 27년)에 김우문(金祐文)이 그린 <수월관음도> 등 고려시대 작품 11점이 일본의 소장가나 사찰에 보존되어 있다.
조선시대의 작품으로는 무위사(無爲寺)<양류관음도>, 운흥사(雲興寺)<수월관음도>, 해인사(海印寺)<수월관음도>, 도갑사(道岬寺)<삼십이관음응신도>(일본 知恩院 소장) 등이 유명하다.
#관세음보살에 관한 신앙을 그림으로 묘사한 불화. 불화
주로 사찰의 원통전(圓通殿)에 봉안된다. 관음보살은 법화변상도(法華變相圖)의 성중(聖衆)이다.
그래서 아미타변상도(阿彌陀變相圖) 속의 협시보살(脇侍菩薩)로서 아미타내영도(阿彌陀來迎圖) 속에 묘사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관음 신앙이 보다 강조되고 독립적인 신앙 형태를 취하게 됨에 따라 독립적인 불화로서 발전하게 된 것이다.
일본에 있는 고려시대의 작품들을 제외하면, 현재 우리나라 사찰에 있는 관음탱화는 대부분이 17세기 이후에 제작된 것이다. 특히, 일본에 남아 있는 대부분의 고려 관음탱화에는 수월관음(水月觀音)이 묘사되어 있다.
수월관음은 ≪화엄경≫의 입법계품(立法界品)에 근거하여 묘사한 것이다. 입법계품에 의하면 관세음보살은 항상 인도의 남쪽 바다 가운데 있는 보타락가산(補陀落迦山)에 거주하면서 중생을 제도하는 보살이라고 한다.
보타락가산은 많은 성중들이 살고 광명이 넘치며 나무의 꽃이 끊임없이 피어 늘 향기가 나는 곳이다. 이곳의 맑고 깨끗한 연못가 금강보석 위에는 관음보살이 결가부좌하고 앉아, 중생을 이롭게 하고 선재동자(善財童子)의 방문을 받아 설법을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전경을 묘사하는 것이 관음탱화의 일반적인 유형이다. 하지만 우리 나라의 관음탱화는 중앙 상단의 궁전 속에 관음보살이 좌정하여 있다. 그 아래쪽에는 협시로서 남순동자(南巡童子)와 해상용왕(海上龍王)이 많이 그려져 있다.
수월관음화는 고려시대에 크게 유행하였다. 오늘날에도 국경공(國京公)이 찬한 <수월관음화>, 한생(韓生)이 그린 <백의수월관음화>, 복령사(福靈寺)<수월관음화>에 관한 기록들이 문헌을 통해 전해지고 있다.
또한 고려의 수월관음화는 중국과 다른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선재동자·암굴·염주·공양자 및 보주(寶珠)를 든 용, 한 쌍의 청죽(靑竹) 등의 표현은 다른 나라의 탱화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이다.
이는 의상(義湘)이 친견한 낙산(洛山)의 수월관음을 도상화한 형식이 계속 유행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에도 관음탱화의 주류를 이루었던 수월관음도였다. 그러나 밀교(密敎)의 영향을 받은 천수관음(千手觀音)·백의관음(白衣觀音)·양류관음(楊柳觀音) 등의 탱화도 유행,
십일면관음보살입상 | 고궁, 유적지,
불교가 전래된 이래로 사람들이 부처님께 빌었던 가장 큰 소원은 자신과 가족, 친지의 건강과 행복이었다.
그러나 부처님은 절대적인 존재로서 속세를 살아가는 중생들에게는 다가서기 어렵고, 너무 멀게 느껴지는
신이기도 했다. 중생들은 보다 친숙하면서도, 자신들과 어려움을 바로바로 해결해주며, 또 즉각적으로
소원을 들어주는 신을 원했다. 이러한 필요에 의해 등장한 불교의 신神이 바로 관음보살이다.
"관음보살"은 "관세음보살'의 약자이다. "관세음"이란 볼 관觀, 세상 세世, 소리 음音, 자의 합성어로 세상의
소리를 본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즉 관음보살은 그 이름에서부터 "중생들의 어려움을 시각적, 청각적으로 굽어 살핀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는 관음보살이 부처님을 대신해서 자비를 베푼다는 불교적인 함축성도 담고 있는 것이다.
<법화경>이라는 불교경전에는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백 천만 중생들이 온갖 고난을 겪더라도, 한 마음, 한 뜻으로 관음보살의 이름을 부르면그 고난에서 벗어날 수 있다"라는 구절이 있다.
큰 화재, 물난리가 났을 때에도, 험난한 산 속에서 도적을 만났을 때에도, 또 바다에서 폭풍우를 만났을 때에도, 중생이 온 마음을 다해 관음의 이름을 부르면 구해준다는 것이다. 즉 위기일발의 순간,
"관세음보살" 다섯글자만 정성스레 외면 구원을 얻을 수 있다는 것으로 이것이 바로 관음신앙의 핵심이다.
온갖 고통과 어려움이 가득한 현세의 사람들에게 관믐보살의 이름을 부르는 것만으로 구원을 받을 수
있다는 믿음은 매력적이지 않을 수 없었다.
관음신앙은 신앙의 내용도, 구원을 비는 방법도 쉬웠던 탓에 동아시아에 소개되자마자 빠른 속도로
퍼져나갔다.
자연스레 관음보살의 모습 역시 그림과 조각으로 활발하고 다양하게 제작되었다.
옛 사람들은 자신들이 숭배해마지 않는 관음보살을 형상화하면서 다른 보살들과 구별되는 외형적인 특징을
만들어냈다. 머리에 쓴 보관에 장식된 부처님 모양의 "화불化佛"과 손에 쥐어진 "정병淨甁 "은 관음보살임을
알아볼 수 있는 시각적인 징표이다.
"화불"이란 보살이 다음 생에 태어나면 깨달음을 얻어 부처가 될 것이라는사실을 예시해 주는 상징이며,
정병은 깨끗하고 맑은 물을 담는 용구로 불교의식에 사용되었던 것이다.
특히 정병에 담긴 물은 중생들의 목마름과 고통을 덜어준다는 자비로운 의미를 지니고 있다.
<삼양동 금동관음보살상>은 관음보살의 특징인 화불과 정병을 잘 보여주는 삼국시대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삼양동 금동관음보살상은 높이 20cm가량의 작은 조각에 불과하지만 적절한 추상화와 단순화, 바로 움직일것 같은 절제된 운동감이 돋보이는 수작이다. 신앙의 대상으로서만이 아니라 점차 불상을 통해 아름다움을 추구해 가는 삼국시대 사람들의 미감을 느낄 수 있다.
석굴암의 <십일면관음보살입상>은 통일신라 시대의 대표적인 관음보살상이다.
십일면관음보살입상은 석굴암 내부에 있는 40개의 조각 가운데 하나로 석굴암 불상 바로 뒤편에 자리잡고
있다. 십일면관음보살은 기본적으로 관음보살과 같은 성격의 신이지만, 십일면이라는 이름 그대로 11개의
얼굴을 가지고 있는 점이 독특하다. 일반적인 관음보살보다 얼굴이 10개나 더 있는것은 더 많은 얼굴과
더 많은 눈으로 중생의 고통과 어려움을 둘러보고, 도움을주기 위함이다.
즉 관음보살의 자비로운 마음과 구원의 성격이 더욱 커진 것이다.
<십일면관음보살입상>은 환조丸彫에 가까운 고부조로 석굴암 내부에 있는 많은 조각들 가운데에서도
단연백미로 꼽힌다. 왼손에는 연꽃이 꽂힌 정병을 들고, 오른손으로는 구슬로 만든 목걸이 장식을
섬세한 손길로 살짝 쥐고 있다. 다만 <십일면관음보살상>의 머리 가장 위에 있는 소형 불상은
일제강점기에 잘못 놓여진 것이다.
본래 십일면관음보살은 앞쪽에 원래의 얼굴 하나와 머리 위에 9개의 얼굴을, 그리고 뒤통수에는
나머지 한 개의 얼굴을 갖고 있다. 따라서 부조로 표현될 경우 십일면관음보살의 머리 뒤편 얼굴은 자연스럽게 생략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사실을 몰랐던 일본인이 11개의 숫자를 맞추기 위해 불상을 잘못 올려놓은 것이다.
이천시립미술관 로비에는 월전 선생이 생전에 소장했던 석굴암 십일면관음보살상의 모습을 그대로
전해주는 실제사이즈의 모형이 있다.
[The mid-14-century work is one of the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depicting Avalokiteshvara,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called Gwaneumbosal in Korea, sitting on a rock.
#불교 #관음보살 #수월 관음도(보물 제1204호) #중생의 소리를 눈으로 보다 #자비의 신 관음보살 #십일면관음보살입상은 석굴암 #십일면관음보살입상 #환조丸彫에 가까운 고부조로 #석굴암 내부에 있는 많은 조각들 가운데에서도 #단연백미로 꼽힌다 #왼손에는 연꽃이 꽂힌 정병을 들고 #오른손으로는 구슬로 만든 목걸이 장식을 섬세한 손길로 살짝 쥐고 있다 #십일면관음보살상>의 머리 가장 위에 있는 소형 불상 #일제강점기에 잘못 놓여진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